Loading…

감성요인이 국내 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사증후군은 만성질환의 위험 또는 사망률과 높은 상관성을 갖는다. 그 중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은 성인 기로 연결되어 심혈관계 질환 등으로 이행률이 높기 때문에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및 고열량 등의 식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 관계를 규명하며, 나아가 청소년들 이 지각하는 감성요인과 대사증후군간의 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결과, 대사증후군 판별을 위한 HDL-콜레스테롤에 서 영향섭취 유형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이 스트레스와 같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2019, 17(10), , pp.359-372
Main Authors: 전현규, 원종윤, 이건창
Format: Article
Language:Korea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cited_by
cites
container_end_page 372
container_issue 10
container_start_page 359
container_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container_volume 17
creator 전현규
원종윤
이건창
description 대사증후군은 만성질환의 위험 또는 사망률과 높은 상관성을 갖는다. 그 중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은 성인 기로 연결되어 심혈관계 질환 등으로 이행률이 높기 때문에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및 고열량 등의 식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 관계를 규명하며, 나아가 청소년들 이 지각하는 감성요인과 대사증후군간의 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결과, 대사증후군 판별을 위한 HDL-콜레스테롤에 서 영향섭취 유형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이 스트레스와 같은 감성요인의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청소년 대사증후군을 예방, 관리하기 위한 국가보건정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doi_str_mv 10.14400/JDC.2019.17.10.359
format article
fullrecord <record><control><sourceid>nrf_kisti</sourceid><recordid>TN_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6161202</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earticl_id>364151</earticl_id><sourcerecordid>oai_kci_go_kr_ARTI_6161202</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LOGICAL-e872-26068ea941cab858ddb96e81004bfe1500c8621b5ed98ec3782bc3d3b0d03211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o90E1LAkEYB_AlChLzEwSxlw4d3OaZmZ2dPYq9aYIU3od9GWPRNHa9dCuxDuHBg6RUHuuUZKFgX8kdv0OW0un_8PD7P4dH07YBGUApQvv5g6yBEdgGWMZiSUx7TUtgC0iaUYrX_2dCN7VUFAUuogvObQwJ7Ww26qjWp3rqqsFUDcb6bDKMm2NdfQ3VfTu-a-lx-0Y139XbYP7cmk1GunppzXv9VaHX0eOPqfruxw9dXfVv54-vW9pG2alGMrXKpFY6OixlT9KF4nEumymkJbdwGjPEuHRsCp7jcpP7vmszyQEh6pYlmAh5nGFwTenbXHrE4tj1iE9c5COCAUhS21uerYVlUfECUXeCv7yoi0ooMuelnGDAACO8sLtLWwmiRiBqflQV-cxp8fdpBDDD1OKU8IXbWTrphI3Aq0pxFQaXTngtCKNgAvkBkjSBIw</addsrcrecordid><sourcetype>Open Website</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감성요인이 국내 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title><source>EBSCOhost Business Source Ultimate</source><creator>전현규 ; 원종윤 ; 이건창</creator><creatorcontrib>전현규 ; 원종윤 ; 이건창</creatorcontrib><description>대사증후군은 만성질환의 위험 또는 사망률과 높은 상관성을 갖는다. 그 중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은 성인 기로 연결되어 심혈관계 질환 등으로 이행률이 높기 때문에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및 고열량 등의 식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 관계를 규명하며, 나아가 청소년들 이 지각하는 감성요인과 대사증후군간의 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결과, 대사증후군 판별을 위한 HDL-콜레스테롤에 서 영향섭취 유형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이 스트레스와 같은 감성요인의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청소년 대사증후군을 예방, 관리하기 위한 국가보건정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description><identifier>ISSN: 2713-6434</identifier><identifier>EISSN: 2713-6442</identifier><identifier>DOI: 10.14400/JDC.2019.17.10.359</identifier><language>kor</language><publisher>한국디지털정책학회</publisher><subject>과학기술학</subject><ispartof>디지털융복합연구, 2019, 17(10), , pp.359-372</ispartof><oa>free_for_read</oa><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230,314,776,780,881,27901,27902</link.rule.ids><backlink>$$U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1551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Hfree_for_read</backlink></links><search><creatorcontrib>전현규</creatorcontrib><creatorcontrib>원종윤</creatorcontrib><creatorcontrib>이건창</creatorcontrib><title>감성요인이 국내 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title><title>디지털융복합연구</title><addtitle>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addtitle><description>대사증후군은 만성질환의 위험 또는 사망률과 높은 상관성을 갖는다. 그 중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은 성인 기로 연결되어 심혈관계 질환 등으로 이행률이 높기 때문에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및 고열량 등의 식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 관계를 규명하며, 나아가 청소년들 이 지각하는 감성요인과 대사증후군간의 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결과, 대사증후군 판별을 위한 HDL-콜레스테롤에 서 영향섭취 유형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이 스트레스와 같은 감성요인의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청소년 대사증후군을 예방, 관리하기 위한 국가보건정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description><subject>과학기술학</subject><issn>2713-6434</issn><issn>2713-6442</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19</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recordid>eNo90E1LAkEYB_AlChLzEwSxlw4d3OaZmZ2dPYq9aYIU3od9GWPRNHa9dCuxDuHBg6RUHuuUZKFgX8kdv0OW0un_8PD7P4dH07YBGUApQvv5g6yBEdgGWMZiSUx7TUtgC0iaUYrX_2dCN7VUFAUuogvObQwJ7Ww26qjWp3rqqsFUDcb6bDKMm2NdfQ3VfTu-a-lx-0Y139XbYP7cmk1GunppzXv9VaHX0eOPqfruxw9dXfVv54-vW9pG2alGMrXKpFY6OixlT9KF4nEumymkJbdwGjPEuHRsCp7jcpP7vmszyQEh6pYlmAh5nGFwTenbXHrE4tj1iE9c5COCAUhS21uerYVlUfECUXeCv7yoi0ooMuelnGDAACO8sLtLWwmiRiBqflQV-cxp8fdpBDDD1OKU8IXbWTrphI3Aq0pxFQaXTngtCKNgAvkBkjSBIw</recordid><startdate>20191031</startdate><enddate>20191031</enddate><creator>전현규</creator><creator>원종윤</creator><creator>이건창</creator><general>한국디지털정책학회</general><scope>M1Z</scope><scope>JDI</scope><scope>ACYCR</scope></search><sort><creationdate>20191031</creationdate><title>감성요인이 국내 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title><author>전현규 ; 원종윤 ; 이건창</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LOGICAL-e872-26068ea941cab858ddb96e81004bfe1500c8621b5ed98ec3782bc3d3b0d03211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19</creationdate><topic>과학기술학</topic><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전현규</creatorcontrib><creatorcontrib>원종윤</creatorcontrib><creatorcontrib>이건창</creatorcontrib><collection>eARticle</collection><collection>KoreaScience</collection><collection>Korean Citation Index</collection><jtitle>디지털융복합연구</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전현규</au><au>원종윤</au><au>이건창</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감성요인이 국내 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atitle><jtitle>디지털융복합연구</jtitle><addtitle>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addtitle><date>2019-10-31</date><risdate>2019</risdate><volume>17</volume><issue>10</issue><spage>359</spage><epage>372</epage><pages>359-372</pages><issn>2713-6434</issn><eissn>2713-6442</eissn><abstract>대사증후군은 만성질환의 위험 또는 사망률과 높은 상관성을 갖는다. 그 중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은 성인 기로 연결되어 심혈관계 질환 등으로 이행률이 높기 때문에 소아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및 고열량 등의 식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 관계를 규명하며, 나아가 청소년들 이 지각하는 감성요인과 대사증후군간의 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결과, 대사증후군 판별을 위한 HDL-콜레스테롤에 서 영향섭취 유형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이 스트레스와 같은 감성요인의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청소년 대사증후군을 예방, 관리하기 위한 국가보건정책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abstract><pub>한국디지털정책학회</pub><doi>10.14400/JDC.2019.17.10.359</doi><tpages>14</tpages><oa>free_for_read</oa></addata></record>
fulltext fulltext
identifier ISSN: 2713-6434
ispartof 디지털융복합연구, 2019, 17(10), , pp.359-372
issn 2713-6434
2713-6442
language kor
recordid 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6161202
source EBSCOhost Business Source Ultimate
subjects 과학기술학
title 감성요인이 국내 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url http://sfxeu10.hosted.exlibrisgroup.com/loughborough?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2-10T02%3A57%3A33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nrf_kisti&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0%90%EC%84%B1%EC%9A%94%EC%9D%B8%EC%9D%B4%20%EA%B5%AD%EB%82%B4%20%EC%B2%AD%EC%86%8C%EB%85%84%20%EB%8C%80%EC%82%AC%EC%A6%9D%ED%9B%84%EA%B5%B0%20%EC%9C%84%ED%97%98%EC%9A%94%EC%9D%B8%EC%97%90%20%EB%AF%B8%EC%B9%98%EB%8A%94%20%EC%98%81%ED%96%A5&rft.jtitle=%EB%94%94%EC%A7%80%ED%84%B8%EC%9C%B5%EB%B3%B5%ED%95%A9%EC%97%B0%EA%B5%AC&rft.au=%EC%A0%84%ED%98%84%EA%B7%9C&rft.date=2019-10-31&rft.volume=17&rft.issue=10&rft.spage=359&rft.epage=372&rft.pages=359-372&rft.issn=2713-6434&rft.eissn=2713-6442&rft_id=info:doi/10.14400/JDC.2019.17.10.359&rft_dat=%3Cnrf_kisti%3Eoai_kci_go_kr_ARTI_6161202%3C/nrf_kisti%3E%3Cgrp_id%3Ecdi_FETCH-LOGICAL-e872-26068ea941cab858ddb96e81004bfe1500c8621b5ed98ec3782bc3d3b0d032113%3C/grp_id%3E%3Coa%3E%3C/oa%3E%3Curl%3E%3C/url%3E&rft_id=info:oai/&rft_id=info:pmid/&rft_earticl_id=364151&rfr_iscdi=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