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차별인식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12월 20일~30일까지 J도 D대학 학생 35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접촉경험과 노인차별인식의 영향 관계 에서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 18(1), , pp.59-71 |
---|---|
Main Authors: | ,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Korean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cited_by | |
---|---|
cites | |
container_end_page | 71 |
container_issue | 1 |
container_start_page | 59 |
container_title | 디지털융복합연구 |
container_volume | 18 |
creator | 양정남 최은정 김화선 |
description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차별인식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12월 20일~30일까지 J도 D대학 학생 35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접촉경험과 노인차별인식의 영향 관계 에서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간에도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노인차별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노화지식 함양과 노인 접촉경험을 확장 하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doi_str_mv | 10.14400/JDC.2020.18.1.059 |
format | article |
fullrecord | <record><control><sourceid>nrf_kisti</sourceid><recordid>TN_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6636957</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earticl_id>368880</earticl_id><sourcerecordid>oai_kci_go_kr_ARTI_6636957</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LOGICAL-e877-3e4669c3033f93caa0309f7ad2b83ef97d218e1e0803ea61d506c780440d42b1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o9kMtKw0AUhoMoKOoLuJBsXLhonEs6mSxLvSsI0v2QJhMJrVaSbtxVVPC2qKA2QgsKFl0IFluhgr5QZvIOTq26-v9zzncOh1_TZiAwoGkCsLC-mDcQQKqkBjRA1h7RJpAFcYaYJhr999gc16ajKCgCEwFIbQQntLq4rKU3d_KoJVuxLk76stWX91eyd5a8faWNOOl-Drrp3bV8qskLRfX0pPuedOrivC3u27J1rIunx6TTFN2aPI3FQ_PvSudZdI8HRm016rp47cuPWJxf6zI-TG_bSa-WqLmaKJfeNHXZ6CTvL1PamO-UIz79q5NaYXmpkF_NbG6trOVzmxlOLSuDuUmI7WKAsW9j13EABrZvOR4qUsx92_IQpBxyQAHmDoFeFhDXokDF5ZmoCPGkNj88uxf6rOQGrOIEP7pTYaWQ5bYLa4wQTOyspdi5IVsKomrA9ryozNZzG1uDyAG1CEIQUDzgZoccd8Jq4JY52w-DXSc8YJhQqj75BocVrME</addsrcrecordid><sourcetype>Open Website</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title><source>Business Source Ultimate【Trial: -2024/12/31】【Remote access available】</source><creator>양정남 ; 최은정 ; 김화선</creator><creatorcontrib>양정남 ; 최은정 ; 김화선</creatorcontrib><description>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차별인식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12월 20일~30일까지 J도 D대학 학생 35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접촉경험과 노인차별인식의 영향 관계 에서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간에도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노인차별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노화지식 함양과 노인 접촉경험을 확장 하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description><identifier>ISSN: 2713-6434</identifier><identifier>EISSN: 2713-6442</identifier><identifier>DOI: 10.14400/JDC.2020.18.1.059</identifier><language>kor</language><publisher>한국디지털정책학회</publisher><subject>과학기술학</subject><ispartof>디지털융복합연구, 2020, 18(1), , pp.59-71</ispartof><oa>free_for_read</oa><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230,314,780,784,885,27924,27925</link.rule.ids><backlink>$$U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5349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Hfree_for_read</backlink></links><search><creatorcontrib>양정남</creatorcontrib><creatorcontrib>최은정</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화선</creatorcontrib><title>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title><title>디지털융복합연구</title><addtitle>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addtitle><description>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차별인식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12월 20일~30일까지 J도 D대학 학생 35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접촉경험과 노인차별인식의 영향 관계 에서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간에도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노인차별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노화지식 함양과 노인 접촉경험을 확장 하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description><subject>과학기술학</subject><issn>2713-6434</issn><issn>2713-6442</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20</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recordid>eNo9kMtKw0AUhoMoKOoLuJBsXLhonEs6mSxLvSsI0v2QJhMJrVaSbtxVVPC2qKA2QgsKFl0IFluhgr5QZvIOTq26-v9zzncOh1_TZiAwoGkCsLC-mDcQQKqkBjRA1h7RJpAFcYaYJhr999gc16ajKCgCEwFIbQQntLq4rKU3d_KoJVuxLk76stWX91eyd5a8faWNOOl-Drrp3bV8qskLRfX0pPuedOrivC3u27J1rIunx6TTFN2aPI3FQ_PvSudZdI8HRm016rp47cuPWJxf6zI-TG_bSa-WqLmaKJfeNHXZ6CTvL1PamO-UIz79q5NaYXmpkF_NbG6trOVzmxlOLSuDuUmI7WKAsW9j13EABrZvOR4qUsx92_IQpBxyQAHmDoFeFhDXokDF5ZmoCPGkNj88uxf6rOQGrOIEP7pTYaWQ5bYLa4wQTOyspdi5IVsKomrA9ryozNZzG1uDyAG1CEIQUDzgZoccd8Jq4JY52w-DXSc8YJhQqj75BocVrME</recordid><startdate>202001</startdate><enddate>202001</enddate><creator>양정남</creator><creator>최은정</creator><creator>김화선</creator><general>한국디지털정책학회</general><scope>M1Z</scope><scope>JDI</scope><scope>ACYCR</scope></search><sort><creationdate>202001</creationdate><title>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title><author>양정남 ; 최은정 ; 김화선</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LOGICAL-e877-3e4669c3033f93caa0309f7ad2b83ef97d218e1e0803ea61d506c780440d42b1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20</creationdate><topic>과학기술학</topic><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양정남</creatorcontrib><creatorcontrib>최은정</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화선</creatorcontrib><collection>e-article (학술교육원)</collection><collection>KoreaScience</collection><collection>Korean Citation Index</collection><jtitle>디지털융복합연구</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양정남</au><au>최은정</au><au>김화선</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atitle><jtitle>디지털융복합연구</jtitle><addtitle>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addtitle><date>2020-01</date><risdate>2020</risdate><volume>18</volume><issue>1</issue><spage>59</spage><epage>71</epage><pages>59-71</pages><issn>2713-6434</issn><eissn>2713-6442</eiss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차별인식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12월 20일~30일까지 J도 D대학 학생 35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접촉경험과 노인차별인식의 영향 관계 에서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간에도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노인차별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노화지식 함양과 노인 접촉경험을 확장 하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abstract><pub>한국디지털정책학회</pub><doi>10.14400/JDC.2020.18.1.059</doi><tpages>13</tpages><oa>free_for_read</oa></addata></record> |
fulltext | fulltext |
identifier | ISSN: 2713-6434 |
ispartof |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 18(1), , pp.59-71 |
issn | 2713-6434 2713-6442 |
language | kor |
recordid | cdi_nrf_kci_oai_kci_go_kr_ARTI_6636957 |
source | Business Source Ultimate【Trial: -2024/12/31】【Remote access available】 |
subjects | 과학기술학 |
title |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url | http://sfxeu10.hosted.exlibrisgroup.com/loughborough?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1-02T18%3A45%3A14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nrf_kisti&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C%80%ED%95%99%EC%83%9D%EC%9D%98%20%EB%85%B8%EC%9D%B8%EC%A0%91%EC%B4%89%EA%B2%BD%ED%97%98%EA%B3%BC%20%EB%85%B8%ED%99%94%EC%A7%80%EC%8B%9D%EC%9D%B4%20%EA%B3%B5%EA%B0%90%EB%8A%A5%EB%A0%A5%EC%9D%84%20%EB%A7%A4%EA%B0%9C%EB%B3%80%EC%88%98%EB%A1%9C%20%EB%85%B8%EC%9D%B8%EC%B0%A8%EB%B3%84%EC%9D%B8%EC%8B%9D%EC%97%90%20%EB%AF%B8%EC%B9%98%EB%8A%94%20%EC%98%81%ED%96%A5%EA%B4%80%EA%B3%84%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rft.jtitle=%EB%94%94%EC%A7%80%ED%84%B8%EC%9C%B5%EB%B3%B5%ED%95%A9%EC%97%B0%EA%B5%AC&rft.au=%EC%96%91%EC%A0%95%EB%82%A8&rft.date=2020-01&rft.volume=18&rft.issue=1&rft.spage=59&rft.epage=71&rft.pages=59-71&rft.issn=2713-6434&rft.eissn=2713-6442&rft_id=info:doi/10.14400/JDC.2020.18.1.059&rft_dat=%3Cnrf_kisti%3Eoai_kci_go_kr_ARTI_6636957%3C/nrf_kisti%3E%3Cgrp_id%3Ecdi_FETCH-LOGICAL-e877-3e4669c3033f93caa0309f7ad2b83ef97d218e1e0803ea61d506c780440d42b13%3C/grp_id%3E%3Coa%3E%3C/oa%3E%3Curl%3E%3C/url%3E&rft_id=info:oai/&rft_id=info:pmid/&rft_earticl_id=368880&rfr_iscdi=tr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