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rthroscopic Internal Fixation of Displaced Intercondylar Eminence Frecture Using Cannulated Screw -Three Cases Report- (도관 나사목을 이용한 경골 과간 융기부 전이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3례 보고-)

경골 과간 융기부 전이 골절(type IIIA)은 정통적으로 관혈적 정복을 통한 내고정술(다발성 핀 삽입술 또는 나사못 삽입술)이 시행되어 왔으며, 만약 골절편의 부분적 연속성이 있고, 분쇄상 골절인 경우는 보족적 치료 또는 전진 봉합술을 이용해 치료가 시도되었다. 저자들은 충분한 골절편을 가진 3례의 경골 과간 융기부 전이골절(Type IIIA)을 관절경하에서 최소한외 절개를 통해 도관 나사못을 이용한 정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술에 대한 방법을 시술하였다. 저자들은 전십자인대 실질의 손상이 없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1998-12, Vol.10 (2), p.190
Main Authors: 손성근, Sungkeun Sohn, 김경택, Kyungtaek Kim, 김달히, and Dalhee Kim
Format: Article
Language:Korean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경골 과간 융기부 전이 골절(type IIIA)은 정통적으로 관혈적 정복을 통한 내고정술(다발성 핀 삽입술 또는 나사못 삽입술)이 시행되어 왔으며, 만약 골절편의 부분적 연속성이 있고, 분쇄상 골절인 경우는 보족적 치료 또는 전진 봉합술을 이용해 치료가 시도되었다. 저자들은 충분한 골절편을 가진 3례의 경골 과간 융기부 전이골절(Type IIIA)을 관절경하에서 최소한외 절개를 통해 도관 나사못을 이용한 정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술에 대한 방법을 시술하였다. 저자들은 전십자인대 실질의 손상이 없고, 경골 부착부로부터 견열된 골절편이 분쇄가 없고 그 크기가 충분하다면, 관절경적 정복술 및 도관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최소한의 절개를 통한 간단하고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좋은 치료 방법중 하나가 된다는 것을 생각되어, 이 술식을 통한 견고한 고정, 적절한 재활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ISSN:2234-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