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급성 통풍성 슬관절염과 패혈성 슬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비교
Purpose To compare the MR findings of septic and acute gouty arthritis of the knee joint.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knee MRI for septic or gouty arthritis at our hospital between October 2012 and October 2018. The MR findings were analyzed for the...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22, Vol.83 (5), p.1071-1080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Korean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Purpose To compare the MR findings of septic and acute gouty arthritis of the knee joint.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knee MRI for septic or gouty arthritis at our hospital between October 2012 and October 2018. The MR finding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bone marrow edema, soft tissue edema, abscess, pattern of synovial thickening (frondlike, lamellated, diffuse linear), maximum thickness of the synovium, and joint effusion volume. The gouty (n = 5) and septic arthritis (n = 10)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Wilcoxon rank-sum 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each item. One patient in the gouty arthritis group and seven in the septic arthritis group had bone marrow edema. Soft tissue abscess formation was only observed in the septic group. The incidence of each synovial thickening pattern was as follows: 100% (diffuse linear) in the gouty arthritis group and 20% (frondlike), 50% (lamellated), and 30% (diffuse linear) in the septic arthritis group. Conclusion Differentiation of gouty arthritis and septic arthritis based on imaging findings is difficult. However, lamellated synovial thickening patterns, bone marrow edema, and soft tissue abscess formation are more commonly observed in patients with septic arthritis than in those with gouty arthritis. 목적 급성 통풍성 관절염과 패혈성 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차이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0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패혈성 혹은 통풍성 관절염으로 확진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패혈성 관절염과 급성 통풍성 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으로 골수부종, 연부조직 부종, 농양 형성 여부, 활액막 비후 양상(엽상체, 층판, 미만성 선형 모양), 활액막 최대 두께와 관절액 양을 평가하였다. 통풍성 관절염(5명)과 패혈성 관절염(10명)을 윌콕슨 순위합 검정과 피셔 정확 검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으로 평가된 각 소견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골수부종은 통풍성 관절염군에서 1건, 패혈성 관절염군에서 7건 관찰되었다. 연부조직 농양은 패혈성 관절염군에서만 관찰되었다. 활액막 비후양상은 통풍성 관절염군은 모두 미만성 선형 모양(100%), 패혈성 관절염군은 엽상체 모양(20%), 층판 모양(50%), 미만성 선형 모양(30%)으로 나타났다. 결론 통풍성 관절염과 패혈성 관절염은 자기공명영상 소견만으로 감별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층판 모양 활액막 비후나 골수부종, 연부조직 농양의 경우 패혈성 관절염에서 더 흔히 보였다. |
---|---|
ISSN: | 1738-2637 295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