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갯벌 표층의 지질환경 특성자료를 이용한 데이터셋: 2021년 시범연구 곰소만 갯벌지역의 퇴적상 특성자료 활용

곰소만 갯벌은 전라북도 부안군과 고창군 사이에 위치하고 반폐쇄 형태의 만(bay)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파랑에 비해 조류가 우세한 지역에 속한다. 갯벌은 주로 남쪽 고창군 지역에 발달해 있으며 갯벌 북쪽에 위치한 주조류로의 깊이는 약 15 m, 폭은 저조시 약 900 m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간대 갯벌의 지질환경 특성자료 분석을 위한 직접적인 정점 시료 채취는 출입이 허용되는 간조시간 및 조사항목 수량에 따라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연구지역인 곰소만 갯벌에서 퇴적상 특성자료 활용 및 지질환경 특...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Geo Data 2022, 4(2), , pp.9-22
Main Authors: 박경규, 우한준, 정회수, 정주봉, 유주형, 이준호
Format: Article
Language:Korea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곰소만 갯벌은 전라북도 부안군과 고창군 사이에 위치하고 반폐쇄 형태의 만(bay)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파랑에 비해 조류가 우세한 지역에 속한다. 갯벌은 주로 남쪽 고창군 지역에 발달해 있으며 갯벌 북쪽에 위치한 주조류로의 깊이는 약 15 m, 폭은 저조시 약 900 m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간대 갯벌의 지질환경 특성자료 분석을 위한 직접적인 정점 시료 채취는 출입이 허용되는 간조시간 및 조사항목 수량에 따라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연구지역인 곰소만 갯벌에서 퇴적상 특성자료 활용 및 지질환경 특성자료 구축을 위한 현장 측정 항목 및 실험실 분석 항목을 선정하여 총 30개 정점에 대해 2021년 6월 22일 및 24일(실제 갯벌 조사 시간: 2일간 약 5시간)에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에 대해 현장 측정 항목은 샘플일 일시(년/월/일/시간/분), GPS-RTK를 이용한 정밀 지형 표고 측량 타원체 고도(m), 전단강도(kg/cm2), 색도를현장에서 측정 및 기재하였으며 현장조사 이후 실험실 분석을 위해 입도(Φ, phi), 전용적밀도(가밀도), 공극률(%),함수률(%), 총유기탄소(%), 총탄소(%) 및 총질소(%)용 샘플을 각각 2개 용기(지퍼백 및 폴리프로필렌 병)에 채취하였다. 입도 습식 실험 이후 Folk 및 Ward (1957)에 의한 퇴적상 분류, 입도분석 결과에 기반한 유기물 특성등 각 실험 결과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향후 이번 시범 연구지역의 지질환경 특성자료를 이용한 데이터셋 사례는 2021년 6월 곰소만 갯벌 현장에서의 연구항목 데이터 선정, 갯벌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 변화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료들은 융합적 연구, 갯벌 환경보전관리 자료 및 관련 연구자사용자 위한 데이터 무료 개방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The Gomso Bay tidal flat is located between Buan-gun and Gochang-gun in Jeollabuk-do, Korea; it is a semi-closed bay in an area where tides prevail over waves. Tidal flats are mainly found south of Gochang-gun, and the main stream located north of the tidal flats is about 15 m deep and 900 m wide at low tide. Limited direct sampling is necessary for analyzing the geological environment of intertidal tidal flats, depending on the expected ebb-tide time and the number of survey items allowed for tidal flat access. This study assessed field measurement and laboratory analysis items for obtaining and establishing geological environment data to use of sediment type data in a pilot research area in the Gomso Bay tidal flat. Thirty sites were examined on June 22 and 24, 2021 (survey time about 3.5 hours for the 2 days). The field measurements were the sample date (year/month/day/hour/minute), ellipsoid height using a real-time kinematics global positioning system (RTK GPS) (m), shear strength (kg/cm2 ), and Munsell color. Samples for particle size (phi, Φ), specific density, porosity (%), moisture content (%), total organic carbon (%), total carbon (%) and total nitrogen (%) were placed in zipper bags and polypropylene (PP) bottles. The sedimentary phases were classified following Folk and Ward (1957), the organic matter was characterized based on particle size analysis and each experimental result was verified. In the future, a geolog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dataset based on this pilot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assess changes in the tidal flat topography
ISSN:2713-5004
DOI:10.22761/DJ2022.4.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