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노동시장 수량적 유연성 추정과 시사점

이 연구는 고용조정속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노동시장 수량적 유연성의 정도와 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결과 얻을 수 있는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은 유연성 제고라는 세계적 추세와는 달리 그동안 국내외 평가와 정합적으로 유연화보다는 좀 더 경직화되어 가는 모습이 확인된다. 둘째, 디지털 전환 및 AI 시대에 수출주도형 개방경제로서 노동시장 양극화에 대한 정책 시사점으로는 대기업부문의 경우 유연한 인력관리와 공정·협조적 노사관계 관행의 정착, 교육·훈련 투자 강화로 수량적·기능적 유연성을 높일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노동경제논집 2024, 47(2), , pp.31-62
Main Authors: 배진한, Jin Han Bai
Format: Article
Language:Korea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이 연구는 고용조정속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노동시장 수량적 유연성의 정도와 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결과 얻을 수 있는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은 유연성 제고라는 세계적 추세와는 달리 그동안 국내외 평가와 정합적으로 유연화보다는 좀 더 경직화되어 가는 모습이 확인된다. 둘째, 디지털 전환 및 AI 시대에 수출주도형 개방경제로서 노동시장 양극화에 대한 정책 시사점으로는 대기업부문의 경우 유연한 인력관리와 공정·협조적 노사관계 관행의 정착, 교육·훈련 투자 강화로 수량적·기능적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 조성, 중소기업부문의 인력부족 완화를 위한 외국인 근로자의 활용방안 모색, 근로시간 유연성 강화에 대한 개혁적 노력 등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gree of quantitative flexibility in the Korean labor market and its evolu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peed of employment adjustment.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ntrary to the global trend of increasing flexibility, the Korean labor market has become more rigid than flexible, consistent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ssessments, when analyzed through the speed of employment adjustment. Second, as an export-oriented open econom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AI, the policy implications for labor market polarization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flexible workforce management and fair an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practices in the large enterprise sector,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to increase quantitative and functional flexibility by strengthening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exploration of ways to utilize foreign workers to alleviate labor shortages in the SME sector, and reform efforts to strengthen working hours flexibility.
ISSN:1229-6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