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폐경 여성의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상태 평가
연구목적: 한국 폐경 여성에서 영양소와 식품의 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연령증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량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서울 지역의 10개 병원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50세 이상 폐경 여성 189명을 대상으로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법으로 식품섭취량을 조사하고 Can-Pro version 3.0을 이용하여 영양소의 섭취상태를 분석하였다. 결 과: 한국 폐경 여성은 열량과 대부분의 영양소를 충분하게 섭취하였으나, 비타민 D와 칼슘의 섭취는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의 60%와 78% 수준이었다. 칼륨...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2011, 17(1), , pp.12-20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Korean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연구목적: 한국 폐경 여성에서 영양소와 식품의 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연령증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량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서울 지역의 10개 병원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50세 이상 폐경 여성 189명을 대상으로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법으로 식품섭취량을 조사하고 Can-Pro version 3.0을 이용하여 영양소의 섭취상태를 분석하였다. 결 과: 한국 폐경 여성은 열량과 대부분의 영양소를 충분하게 섭취하였으나, 비타민 D와 칼슘의 섭취는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의 60%와 78% 수준이었다. 칼륨과 엽산 또한 영양 섭취 기준에 비해 부족하였다. 반면 나트륨의 섭취는 영양 섭취 기준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50∼64세 여성과 비교하여 65세 이상의 고령 폐경 여성에서는 지질, 식물성 지질, 다가불포화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6 지방산, 식이섬유,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 비타민 E,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 엽산, 비타민 C, 식물성 칼슘, 인, 나트륨, 칼륨, 철분, 식물성 철분 등의 영양소와, 과일, 생선, 버섯 등 식품군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두 군의 폐경 여성 모두에서 비타민 D, 엽산, 칼슘, 칼륨의 섭취량이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여 낮았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비타민 D, 엽산, 칼슘, 칼륨의 섭취량이 낮았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영양소 및 식품섭취가 감소함으로 영양상태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etary intake of nutrients and food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One hundred eighty-nine post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from 10 different hospitals in Seoul. The dietary intake of nutrients and foods was obtained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cluding 102 foods based on the Korean food pattern. Results: Postmenopausal Korean women consumed energy and most of the nutrients adequately, except vitamin D, calcium, potassium, and folate. Intake of vitamin D and calcium was 60% and 78%, respectively, of the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 (KDRI). Elderly postmenopausal women>65 years of age consumed significantly less nutrients, such as fat, n-3 and n-6 fatty acids, fiber, vitamin A, vitamin B complex, calcium, potassium, iron, fruit, fish, and mushrooms. The intake of vitamin D, calcium, potassium, and folate, was less than the KDRI in both groups of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ake of vitamin D, folate, calcium, and potassium was less than the KDRI in postmenopausal women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ostmenopausal women was worse than younger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12-20) |
---|---|
ISSN: | 2288-6478 2288-67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