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스마트러닝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성공전략 연구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한 기술들이 확산되면서 이전과 다른 방법으로 소통하고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보다 다양한 학습방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육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한국은 e-러닝에 이어 스마트러닝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정책 수립을 시작으로 공교육에 스마트러닝 도입을 적극 추진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러닝의 추진 성과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공교육의 스마트러닝 추진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Saved in:
Published in: | 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2015, 16(6), , pp.123-131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Korean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한 기술들이 확산되면서 이전과 다른 방법으로 소통하고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보다 다양한 학습방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육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한국은 e-러닝에 이어 스마트러닝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정책 수립을 시작으로 공교육에 스마트러닝 도입을 적극 추진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러닝의 추진 성과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공교육의 스마트러닝 추진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이 공교육에 정착하기 위한 성공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공교육과 스마트러닝 환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SWOT 분석과 AHP 기법을 통해 전략 요인과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공교육 환경에 스마트러닝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약점을 보완하여 위협을 극복하는 WT전략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요인으로는 미흡한 스마트러닝 관련 교사 연수 제도(W2), 제도차원 교육환경기반 및 추진역량(S4), 스마트러닝 추진에 대한 제한적 정부지원(T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의 제도적 기반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향후 스마트러닝 추진을 위한 정책과 지원제도 수립 과정에 전략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CT has a big impact on education field, and diffusion of smart devices has brought new education paradigm. Since people has an opportunity to use various contents anytime and communicate in an interactive way, the method of learning has changing. In 2011,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smart education promotion plan to be a first mover in the paradigm shift from e-learning to smart learning. Especially, government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 in public schools, and also to decrease the high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However, the achievement of smart education policy has not emerged yet, and the refinement of smart learning policy and strategy is essential at this mo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uccessful strategies for smart learning in public education.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status of public education and smart learning environment in Korea. Then, it derives the key success factors through SWO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analysis, and suggests strategic priorities through AHP(Analytic Hierarchy Priority) method. The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with total 20 teachers, who works in public schools. As a results, focusing on weakness-threat(WT) strategy is the most prior goal for public education, to activate the smart learning. As sub-factors, promoting the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W2), which is still a weakness,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e improved. The second sub-factor with high priority was an efficient optimizing the capability of new learning method(S4), which is a strength of systematic public education environment. The third sub-factor with high priority was the extension of limited government |
---|---|
ISSN: | 1598-0170 2287-1136 |
DOI: | 10.7472/jksii.2015.16.6.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