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청소년 소아암 생존자의 슬픔: 상황분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how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grieve the death of cancer pee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Korean adolescents with cancer between the ages of 13 and 18 (N=12)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face-to-face, telephon...
Saved in:
Published i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 20(1), , pp.49-57 |
---|---|
Main Authors: |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Korean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how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grieve the death of cancer pee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Korean adolescents with cancer between the ages of 13 and 18 (N=12)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face-to-face, telephone, and Internet chatting), observations of the social dynamics of participants in self-help groups, and retrieval of personal Web journal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were used. Clarke's situational analysis was adopted, and this paper focused on presenting "how to" and "what we can learn" from this analytic strategy. Results: Mapping examples were visualized using of three modes of maps. Adolescent cancer survivors coped with reminders of the "darkness" that ultimately featured their overall grief. Additionally, adolescents' encounters and avoidance of grief were triggered by introspection and interactions with family and friends. Conclusion: Situational analysis provided an efficient way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by systematizing possible information within the relational social contexts of the research phenomenon. 목적 본 연구는 함께 치료를 받았던 암 환우의 죽음이라는 간헐적이나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에 노출된 청소년 소아암 생존자의 슬픔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자료는 만 13-18세의 소아암 청소년 생존자 12명과 반구조화된 면접(일대일면접, 전화면접, 인터넷 채팅), 자조 집단의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넷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올려 있는 참여자들의 글을 수집하였다. 근거이론방법론 분석의 일환인 Clarke (2005)의 상황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상황분석에 의거하여 세 가지 수준의 지도를 도식화하였다. 암 환우를 잃은 슬픔에 빠진 청소년 소아암 생존자와 관련된 모든 상황적 구성요소들이 첫 번째 상황적 지도의 두 가지 버전에 의해 마련되었고, 두 번째로 슬픔에 처한 청소년 소아암 생존자를 중심으로 주변 인물들의 관계 및 슬픔이 일어나는 주요 장소에 대한 사회적 세계 지도가 그려졌다. 마지막으로 타인과의 관계 수준에 따른 슬픔의 표출 정도를 위치 지도에 도식화하였다. 청소년 소아암 생존자의 슬픔은 어두운 잔존 기억에 대처하기 위해 내면의 자아와 의사소통하는 동시에 친구 및 가족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협상하였다. 슬픔은 특히 어머니에게 표출하지 않고자 노력하였으며, 슬픔으로 초래되는 정신적 힘듦을 피하기 위해 아무렇지 않은 듯 혼자 시간 보내거나 의식적으로 암을 앓고 있지 않은 건강한 친구와의 관계맺음을 선호하였다. 결론 청소년 소아암 생존자의 슬픔은 다양한 상황적 맥락에 연루된 사회 환경적 요소들에 따라 숨겨지거나 표출되었다. 상황분석은 이러한 요소들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정렬하며 비교, 분석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였다. |
---|---|
ISSN: | 2287-9110 2287-9129 |
DOI: | 10.4094/chnr.2014.20.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