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소아암 아동과 가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과 가족 대상의 연구의 경향과 소아암아동 간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4u.net)에서 검색한 1985년에서 2009년6월까지 발표된 소아암 아동과 가족에 관한 국내 학위논문 및주요 관련학회지에 게재된 논문과 대한간호학회지와 8개 분과학회지 및 모자보건학회지 및 부모자녀학회지에 게재된 논문105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105편의 논문을 연도, 학문분야, 연구 설계별로 분석하고 105편 중 종설 10편을 제외한 9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자, 연구 주제,...
Saved in:
Published i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0, 16(1), , pp.73-83 |
---|---|
Main Authors: |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Korean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과 가족 대상의 연구의 경향과 소아암아동 간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4u.net)에서 검색한 1985년에서 2009년6월까지 발표된 소아암 아동과 가족에 관한 국내 학위논문 및주요 관련학회지에 게재된 논문과 대한간호학회지와 8개 분과학회지 및 모자보건학회지 및 부모자녀학회지에 게재된 논문105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105편의 논문을 연도, 학문분야, 연구 설계별로 분석하고 105편 중 종설 10편을 제외한 9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자, 연구 주제, 실험연구 및 결과변수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분야는 간호학 52편(49.5%), 사회복지학 18편, 예술치료 10편, 의학 7편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설계는 양적 연구가 73편(69.5%)으로 질적 연구20편(19.1%)보다 많았고 양적 연구는 서술연구가 46편(43.8%)으로 가장 많았고 실험연구는 12편(11.4%)으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셋째, 연구 대상자는 소아암 아동 43편, 소아암 아동 가족58편으로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 많았고 소아암 아동에서는 치료 중인 아동이, 가족에서는 부모나 어머니가 주요 연구대상자였다.
넷째, 연구 주제는 심리/영적인 문제가 37편으로 가장 많았고, 대처 30편, 가족기능, 중재개발과 질병경험 10편, 증상조절7편, 사회적 지지와 중재요구 6편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험연구는 소아암 아동 혹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구강냉요법, 근육이완요법, 지지간호, 예술치료 등 다양한 중재가 적용되었다.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오심/구토에 대한 중재가 3편으로 가장 많았다.
이상과 같이 소아암 아동과 가족에 대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중재적용 연구가 부족했다. 또한 연구 대상은 소아암아동 가족, 특히 어머니나 부모가 많았고 치료 중인 소아암 아동에 편중되었으며 주요 연구주제는 심리/영적인 문제, 대처등 심리사회적인 개념이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recent trends in pediatric oncology research in Korea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is area. Methods: Studies (105) selected from http://www.riss4u.net for last 15 yr were used. They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type, field and design of the study, study participants, main theme, and outcome variables used in intervention studies. Results: 1. Of the 105 studies, 67 were master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49.5%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nursing. 2. There were 73 (69.5%) quantitative studies and 20 (19.1%)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study design was that of a descriptive study. 3. Children with cancer undergoing treatment and their parents, mostly mothers, were the participants most frequently studied. 4. Most themes were psychological/spiritual problems, coping, and family function. 5. Most frequently measured outcome variables were nausea/vomiting, fear/anxiety and adjustmen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more well-designed intervention studies to develop new intervention protocol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previous study findings. It is also necessary to us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deal with physical and psychosocial needs of thes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cluding sibling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KCI Citation Count: 19 |
---|---|
ISSN: | 2287-9110 2287-9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