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R 영상에서의 금속 인공물과 감소방법
MR 영상에서 금속 인공물은 금속 삽입물과 주변 조직의 magnetic susceptibility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금속 인공물을 줄이는 일반적인 방법은 낮은 자장의 MR 장비를 사용하고, 금속물의 방향에 따라 주파수부호화 방향과 위상부호화 방향을 바꾸고, receiver bandwidth와 matrix를 높이며, 절편 두께를 작게 하고 short tau inversion recovery나 Dixon 기법을 사용하여 fat-suppression을 하는 것이다. Slice-encoding for metal artifact co...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20, 81(1), , pp.41-57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eng ; kor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MR 영상에서 금속 인공물은 금속 삽입물과 주변 조직의 magnetic susceptibility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금속 인공물을 줄이는 일반적인 방법은 낮은 자장의 MR 장비를 사용하고, 금속물의 방향에 따라 주파수부호화 방향과 위상부호화 방향을 바꾸고, receiver bandwidth와 matrix를 높이며, 절편 두께를 작게 하고 short tau inversion recovery나 Dixon 기법을 사용하여 fat-suppression을 하는 것이다. Slice-encoding for metal artifact correction이나 multi-acquisition variable-resonance image combination을 통해 보다 강력하게 금속 인공물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최대 단점은 촬영 시간이 길다는 것이나 최근 개발된 compressed sensing과 같은 고속화 기법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
---|---|
ISSN: | 1738-2637 2288-2928 2951-0805 |
DOI: | 10.3348/jksr.2020.81.1.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