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파킨슨유발제인 이산화망간으로 손상된 배양 대뇌 신경아교세포에 대한 노박덩굴 추출물의 보호

본 연구는 이산화망간(MnO 2 )의 신경독성과 이에 대한 노박덩굴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C6 glioma 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지질산화(LP) 억제능 및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MnO 2 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XTT50값은 146.7 μM로 나타나 Borenfreund and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중간독성(mid-cyto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020, 52(2), , pp.150-157
Main Authors: 서영미, Young-mi Seo
Format: Article
Language:Korea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본 연구는 이산화망간(MnO 2 )의 신경독성과 이에 대한 노박덩굴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C6 glioma 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지질산화(LP) 억제능 및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MnO 2 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XTT50값은 146.7 μM로 나타나 Borenfreund and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중간독성(mid-cyto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인 kaempferol (KAE)은 MnO 2 의 독성에 의해 손상받은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MnO 2 의 독성을 방어하였다. 한편, MnO 2 독성에 대한 노박덩굴(CO) 추출물의 영향 조사에 있어서, CO 추출물은 배양 세포에 MnO 2 만을 처리한 것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MnO 2 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이와 동시에 높은 LP 억제능과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MnO 2 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CO 추출물은 LP 억제능과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MnO 2 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한 것을 확인였다. 따라서, CO 추출물과 같은 천연소재는 파킨슨병 유발제인 MnO 2 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환적 중금속 독성을 경감 내지는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물질이라 생각된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a Celastrus orbiculatus Thunb (CO) extract against manganese dioxide (MnO 2 )-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C6 glioma cells were examined. This study assessed the antioxidative effects, including the suppressive ability of lipid peroxidation (LP), the inhibitory ability of xanthine oxidase (XO), and the cell viability. MnO 2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remarkabl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XTT50 value was determined to be 146.7 μM in these cultures. The cytotoxicity of MnO 2 was calculated to be mid-toxic using Borenfreund and Puerner’s toxic criteria. Kaempferol (KAE)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damaged by MnO 2 -induced cytotoxicity significantly. Regarding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CO extract on MnO 2 -induced cytotoxicity, the CO extract increased cell viabilit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MnO 2 -treated group. The CO extract also had inhibitory abilities against lipid peroxidation (LP) and xanthine oxidase (XO). From these findings, oxidative stress is involved in the cytotoxicity of MnO 2 . The CO extract effectively blocked the cytotoxicity induced by MnO 2 via its antioxidative effects. Conclusively, natural resources, such as the CO extract, might be a useful agent for the diminution or improvement of the heavy metal cytotoxicity correlated with disease through oxidative stress, such as MnO 2 , a Parkinsonism inducer. Copyright Ⓒ 2020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ll rights reserved.
ISSN:1738-3544
2288-1662
DOI:10.15324/kjcls.2020.52.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