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디지털 헬스기기의 통합적 고령자 기술수용도 모델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기기의 통합적 고령자 기술수용도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2019년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 용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기술수용요인인 유용성, 편의성, 확장된 기술요인인 효 능감, 불안, 촉진 뿐 아니라 연령에 대한 태도와 삶의 만족도와 디지털 헬스기기 이용의도 간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구조 방정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모형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헬스기기에 대한 유용성, 편의성 이 높을수록 디지털 헬스기기를 이용할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2020, 18(8), , pp.201-215
Main Authors: 신혜리, 윤희정, 김수경, 김영선
Format: Article
Language:Korea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기기의 통합적 고령자 기술수용도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2019년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 용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기술수용요인인 유용성, 편의성, 확장된 기술요인인 효 능감, 불안, 촉진 뿐 아니라 연령에 대한 태도와 삶의 만족도와 디지털 헬스기기 이용의도 간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구조 방정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모형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헬스기기에 대한 유용성, 편의성 이 높을수록 디지털 헬스기기를 이용할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디지털헬스기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는 오히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헬스기기에 대한 편의성, 자기효능감과 불안이 높을수록 유용성 또한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 촉진, 연령에 대한 태도 및 삶의 만족은 편의 성과 정적으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제한적으로 연구되었던 고령자 기술모형을 확대하여 통합적 고령자 기술수용도 모델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20.18.8.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