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원격대학원생 학습만족도 분석 :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원생의 만족도가 성, 학기,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J대학 원격대학 원생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대학원생의 성별 만족도는 교수자, 오프라인 활동, 수업평가에서 남녀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모두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대학원생의 학기별 만족도는 교육과정, LMS, 강의 콘텐츠 질, 오프라인 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연한이 올라갈수록 높...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2021, 19(2), , pp.515-522 |
---|---|
Main Author: | |
Format: | Article |
Language: | Korean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이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원생의 만족도가 성, 학기,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J대학 원격대학 원생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대학원생의 성별 만족도는 교수자, 오프라인 활동, 수업평가에서 남녀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모두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대학원생의 학기별 만족도는 교육과정, LMS, 강의 콘텐츠 질, 오프라인 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연한이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원격대학원 생의 전공별 만족도는 LMS와 수업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교육행 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원격대학원의 교육과정, LMS 구축, 강의 콘텐츠 개발ㆍ제작 등 학생 중심 교육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개선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21.19.2.515 |